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거에요.
[빅 데이터, 데이터 분석,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 사이언스] 라는 말은.
정확한 의미를 떠나, 자주 듣고 접하는 말이라 익숙한 단어라는 느낌이 들어요.
과거에는 데이터를 얻는 게 너무 어려워서 데이터를 갖고 있다는 것만으로 대단한 이득이 있었어요.
지금은 누구나 가지고 있고 찾을 수 있는 데이터를, 어디에 누구를 위해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가 더 중요하죠.
그래서 수집한 데이터를 어떻게 가공할 것인지, 상황에 맞추어 다양하게 분석하고, 이후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예측 능력이 필요해요. 이런 과정을 빅 데이터, 데이터 분석, 데이터 리터러시, 데이터 사이언스라고 해요. 각각 중요하게 여기는 포인트는 조금씩 다르기는 해도, 전체적으로 다루는 것은 비슷해요.
지금까지 해왔던 일이고, 앞으로도 할 일이지만, 잘 하고 있는지, 보완할 것은 무엇인지를 위해 우린 끊임없이 공부를 하죠. 자의든 타의든.
올해 저의 목표에도 데이터분석을 위한 역량을 검증하고 보완하는 자격증 취득이 포함되어 있어요.
2가지를 자격증을 준비중인데, 아직 시작을 못해서 공부하는 과정도 남기고, 자격증 취득 결과도 공유하려고 해요.
1. 데이터 분석 전문가 (준 전문가)
국가 공인 자격증이고, 데이터 기획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시각화 직무를 위한 수행하기 위한 자격증이라고 나와 있어요. 데이터 분석 전문가와 준전문가로 나누어져 있어요.
https://www.dataq.or.kr/www/sub/a_05.do
[데이터분석 전문가]
시험은 필기 5과목(객관식 80 + 서술형 1), 실기로 구성되어 있어요.
필기는 총점 70점 이상(과목별 40% 이상), 실기는 75점 이상 합격이구요.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시험은 필기 3과목(객관식 40문항 + 단답형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총점 60점 이상 (과목별 40% 이상) 합격이에요.
[2022년 시험 일정]
지금은 2월이니 25회(전문가) 또는 33회(준전문가)를 위해 준비중이에요.
2. 빅데이터 분석기사
국가 기술 자격증으로 시행은 이제 2년째인 신상 자격증이에요.
빅데이터 분석기사는 빅데이터 이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분석 기획, 빅데이터 수집·저장·처리,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수행하는 실무자라고 정의하고 있어요.
[응시 과목 및 배점]
시험은 필기 4과목, 실기로 구성되어 있어요.
필기는 빅데이터 분석 기획, 빅데이터 탐색, 빅데이터 모델링, 빅데이터 결과 해석이고, 실기는 빅데이터 분석실무라고 나와 있어요.
https://www.dataq.or.kr/www/sub/a_07.do
[2022년 시험 일정]
교재도 구입했으니, 공부한 내용을 올리도록 할게요!
'데이터 사이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론 통계(Inferential statistics) (0) | 2022.02.22 |
---|---|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 (0) | 2022.02.17 |
데이터 과학을 위한 통계 (0) | 2022.02.15 |
R 설치, R Studio 설치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