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함수 - average / averageA (숫자 셀의 평균 / 데이가 있는 셀의 평균) average 함수는 범위에서 숫자의 평균을 구한다. 산술 평균이다. 구문 AVERAGE(number1, [number2], ...) number1 : 필수 인수 number2 : 선택 인수, 최대 255 개 average 함수는 범위의 합계를 범위의 숫자 셀의 개수로 나눈 결과와 같다. 숫자가 있는 셀만 합한 후 개수로 나눈 결과이므로 텍스트나 빈 셀은 계산에서 제외된다. A1 셀은 AVERAGE 함수로 계산한 결과이고 A2 셀은 SUM과 COUNT 를 이용한 결과이다. 여러 범위를 참조하여 계산할 수 있다. 텍스트가 입력된 셀도 개수에 포함하여 평균을 구하려면 AVERAGEA 함수를 이용한다. 구문 AVERAGEA(value1, [value2], ...) 범위에서 숫자, 숫자를 포함하는 이름, 배열 .. 데이터 분석 - 피벗테이블 2 조건에 따라 분석 결과를 알아본다. 1. 배급사별로 관객수를 분석한 피벗 테이블을 만든다. 1) 배급사 텍스트에 따라 관객수가 집계된다. 배급사의 상위 카테고리는 같지만, 하위 분류에 따라 다른 목록으로 나타난다. 상위 카테고리 롯데에 여러 하위 카테고리가 존재한다. 2) 롯데가 포함된 배급사는 한번에 표시한다. 행 레이블 필터 단추에서 [레이블 필터] - [포함] 을 클릭한다. 3) 결과를 확인한다. 총합계는 필터링된 롯데를 포함한 배급사의 관객수의 합계이다. 2. 관객수가 많은 배급처 5개만 필터한다. 1) 행 레이블 필터 단추에서 [값 필터] - [상위 10]을 클릭한다. 2) 필터 결과를 확인한다. 3) 관객수가 많은 배급처가 맨 위로 올라오도록 순서대로 정렬한다. [관객수] 필드의 셀을 선택하고..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 데이터를 분석한다는 것은 의사결정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 변환, 모델링하는 과정을 모두 의미해요. 데이터를 정리하고 요약하는 가장 기초적인 단계에 사용되는 것이 기술 통계에요. 기술 통계에서 구한 값을 기초로 추론 통계를 하게 되죠. 수집한 데이터를 온전히 바라보는 것 즉 데이터를 설명하는 목적이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에요. 기술 통계는 데이터 표본에 대한 간략한 요약을 나타내요. 데이터에서 무슨 일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방법이죠. 중간을 나타내는 위치 추정과 변동성을 측정하는 변이 추정으로 나눌 수 있어요. 1. 위치 추정 (중심 경향성) 평균, 중간값, 최빈값이 포함되어요. 일반적으로 대표값이라고 해요. 데이터 세트에 대한 빈도를 알려주고, 분포의 중심을 .. 이전 1 다음